문영준의 가톨릭 이야기 23

성유물(聖遺物) 성배 스페인 발렌시아 성당 [문영준의 단상] Holy Grail

[문영준의 단상(斷想) 0227] 성유물(聖遺物) 성배(Holy Grail)스페인  발렌시아 성당Valencia Cathedra  스필버그 감독의인디아나 존스에 등장해서많은 사람들의 흥미를 끌었던 성배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에서 사용한 것으로알려진 이 잔은 여러 회화에 등장하지만그 진품의 행방은 묘연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중세에는이 성배에 강력한 힘이 깃들어있다고 믿었고젊음과 영생을 가져다 준다고 알려졌었다. 한마디로진시황제가 찾아나섰던서양판 불로초다. 로마 가톨릭이 인정하는성배가스페인의 발렌시아 성당에 있다.(Valencia Cathedral) 보다 자세한 내용은Netflix의 다큐를 참조하기 바란다.  [관련글] 성유물(聖遺物) 예수의 가시관  노트르담 성당 소장 [문영준의 단상] The Crown o..

성유물(聖遺物) 예수의 가시관 노트르담 성당 소장 [문영준의 단상] The Crown of Thorns

[문영준의 단상(斷想) 0226] 성유물(聖遺物) 예수의 가시관  프랑스 노트르담 성당 소장The Crown of Thorns  일반대중에게 공개할 때는이 성유물을 지키기 위해서안전요원 및전통적으로 내려오는12명의 기사(Knight)에 의해서 지켜진다.이것은 영화의 이야기가 아니다. 가톨릭 성당인프랑스 파리에 있는노트르담 성당에서지금도 지켜지고 있는성유물이 있으니예수님이 마지막날 쓰셨던바로 그 가시관이다. 노트르담 성당에는십자가 형에 처해졌을 때 사용되었던나무십자가의 파편과못을 함께 보관하고 있다. 이 성물들을영어로는 Passion relics라고 한다. 그런데어떻게 이 가시관이2000년을 살아남아서파리의 성당에보관되게 되었을까 하는의문이 생길 것이다. University of Kent의Guerry 박사..

사랑과 축복에 대한 깊은 고찰 1부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사랑(愛)에 대하여 자애(慈愛) 열애(熱愛) 우애(友愛) 아가페 에로스 필리오 [문영준의 단상]

[문영준의 단상(斷想) 0028] 사랑과 축복에 대한 깊은 고찰 아가페 에로스 필리오 ->  사랑베네딕토 -> 축복 찬미 강복  우리는 한국어라는 창문을 통해서세상을 이해라고 사유한다 그런데 한국어에는 없는 단어가 등장하거나한국어에서는 여러개로 분화되어 있는단어가 하나로 밖에 사용되지 않는외국 유래의 종교를 대하면당황하게 되거나 혹은 오해하게 된다 오늘부터 2회에 걸쳐서 사랑과 축복에 대하여 고찰하도록 한다 오늘은 사랑이다!  [사랑(愛)에 대하여 자애(慈愛) 열애(熱愛) 우애(友愛) 아가페 에로스 필리오]  어제 페북에서 어떤 분이다소 황당 질문을 하셨고충분한 답변을 했음에도 불구하고대화는 점점 미궁으로 빠지는약간 어처구니 없는 경험을 하게 됨으로써 오늘 이 글을 쓰게된다. 국제화가 진행되고 있는이 현..

이런 정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단지 유레카의 순간일 뿐일까? [문영준의 단상]

[문영준의 단상(斷想) 0219] 이런 정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단지 유레카의 순간일 뿐일까?  홍콩 교구의고하퐁 高夏芳 수녀님께서 쓰신4권의 책이 있다 하느님 참 묘하셔라 사람 참 묘하여라 세상 참 묘하여라 인생 참 묘하여라  성당의 예비신자 교육중에이 책을 추천받아서 2권에서 4권은 확보하였지만 1권을 구할 수 가 없었다  원서로 읽을 능력도 되고구입처도 찾아놓았지만 한국의 독자들이 어떤 내용으로 접하는 가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한국어 번역본을 먼저 보려 하고 있다  일본어에서는 히라메키라고 하고 한국어로는 생각이 번뜩이는 순간 이라고 할 수 있는이 상태…  최신 뇌과학에 의하면디폴트 모드라고 부르는 것이 있다 아무것도 안 하고 멍을 때리고 있는 순간에뇌가 쉬지 않고전영역에 걸쳐서 활동이 이루어짐..

왜관 가실성당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 가톨릭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0005] 왜관가실성당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가실1길 1 왜관이란 일본인 거주지역인왜관이 설치된 곳이여서그것의 지명으로 남게 된 곳이다 지금은그 어디에서 일본의흔적은 없는 듯하다. 명성에 비해서는다소 초라한 성당이다.  [추천글] 미국 Internet  Arivchive에 보존된 추억의 e-japanese 프로젝트  (2000년 프로젝트)  [문영준의 단상]11/30/2024https://blog.naver.com/angelyoungmoon/223677721665 Internet Arivchive에 보존된 추억의 e-japanese 프로젝트 (2000년 프로젝트) [문영준의 단상][문영준의 단상(斷想) 0225] 와우 2000년 당시 전세계 일본어 관련 대학 사이트등에서 인..

울산 병영 순교 성지 성당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 가톨릭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0003] 가톨릭: 울산 병영 순교 성지 성당2023년 2월 25일  구글 포토에 있는 사진들을모두 정리하는 과정에서발견한 사진…. 울산….지금 내가 있는 곳이 울산… 어쩌면 내가 이곳에서지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문영준의 이야기] (추천 위주의 가이드 사이트)https://angelyoungmoon.tistory.com  by young v. 18.1.1805/03/202407/21/2024 (updated)

밀양 천주교 명례성지 성모승천성당 신석복 마르코 성당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 가톨릭 密陽 明禮聖堂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0002] 가톨릭: 밀양 천주교 명례성지 密陽 明禮聖堂2022년 6월 6일 이곳에는 2개의 성당이 있다.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성모승천성당과 식석복 마르코 순교자를 위해 지은현대식 신석복 마르코 성당  국가유산청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명례성당은 1897년 순교자 신석복 마르코(1828~1866년)의 출생지 바로 옆에 서 있는 성당으로 경남지역에서 가장 일찍 설립된 천주교회 본당이다. 신석복은 1828년에 명례리 1209년에 출생한 소금장수였는데 1866년 병인박해 때 김해 가산에서 붙잡혀 대구감영에서 순교했다.  순교할 때 “나를 놓아준다 해도 다시 천주교를 봉행할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의 유해는 지금 강 건너 진영 천주교 묘지에 봉안되어 있다.  조용한 교외..

수원 복수동 성당 (수원순교성지)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 가톨릭

[문영준의 성지 및 성당 순례 0001] 가톨릭: 수원 복수동성당 (수원순교성지)2022년 5월 21일  우리의 문화 유산이란  그의 대부분 사찰 혹은 성당의 것들이 많기에종교와 종파를 넘어서그 문화 유산의 의미를알아 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 오래전부터 성지 순례를 하고 있다.  흔히 성지 순례라고 하면 예루살렘을 떠올리겠지만 우리 주위는 상당히 많은 성지들이 있다그것부터 섭렵하는 것이 어떨까?  오늘 순례의 첫 장소로수원의 복수동성당을 소개한다. 설립일 1923년 11월 23일주보성인 성 미카엘 대천사  성당의 마당이라고 할까그곳에 순례길이 마련되어 있고그곳을 돌아보는 느낌이참 소중했다. 직접 찍은 사진 몇 컷을 공유한다. 참고로 가톨릭은조선 후기 청나라로부터'서학(西學)'이라는이름으로 처음 소개되었고..

가톨릭 신자 (예비신자)에게 추천하는 성경 성경(17년의 작업을 거쳐 2005년에 발행된 한국 천주교회 공용 번역본) New American Bible(미국 영어) 오디어 성경 [문영준의 가톨릭 이야기]

[문영준의 가톨릭 이야기 00001] 가톨릭 신자 (예비신자)에게 추천하는 성경  성경 (17년의 작업을 거쳐 2005년에 발행된 한국 천주교회 공용 번역본)New American Bible (미국 영어)    어떤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늘 부딪치는 문제이고원전이 쓰여진 그 시대의문화와 언어적 상황의 이해 없이는정확한 이해를 당연히 할 수가 없다 나는 지금까지 수 십개의 언어로 쓰여진다양한 번역본을 읽었다 가령 영어의 경우직역의 끝판왕이랄 수 있는 KJV의역의 끝판왕이랄 수 있는유진 피터슨의 메세지(이것은 성경이 아니다 오직 했으면 바이블이라고 하지도 않았겠는가 ) 그 중간에서 균형을 맞추었다고 알려져있는NIV NLT등을 오디오 함께 통독을 했고신약의 경우 대충 100번은 들으면서 읽은 듯하다 왜 ..

가톨릭서적 : 홍콩 교구의 고하퐁(高夏芳) 수녀님이 쓴 4권의 책 [문영준의 권장도서] 하느님 참 묘하셔라 사람 참 묘하여라 세상 참 묘하여라 인생 참 묘하여라

[문영준의 권장도서 0004] 가톨릭서적 : 홍콩 교구의 고하퐁(高夏芳) 수녀님이 쓴 4권의 책    하느님 참 묘하셔라 사람 참 묘하여라 세상 참 묘하여라 인생 참 묘하여라 가톨릭서적 홍콩 교구의 고하퐁(高夏芳) 수녀님의 참 묘하셔라 시리즈 전 4권​가톨릭 예비신자 교리 수업에서 신부님께 소개 받은 책인데현재 1권은 ‘절판’으로 구할 수 없어서 이미 확보한 2권 ~ 4권을 먼저 읽기로 한다​​고하퐁(高夏芳)​高夏芳修女為母佑會(慈幼女修會) 修女, 生於澳門,長於香港, 德國 Münster 大學神學博士, 分別於羅馬母佑宗座大學及香港聖神修院神哲學院教授新約聖經及教父學,亦為梵蒂岡教廷修道生活部和基督徒合一部顧問。-命恩泉-​​고하퐁 마리아 수녀는 마카오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자랐다. 이탈리아에 건너가 살레시오회(도움이신 마..